2025 산업협력EXPO에서 만난 ‘투명 전자 방명록’

2025 산업협력EXPO에서 스타트업 베이직 부스는 방문객이 투명한 디지털 캔버스에 남긴 서명을 상단의 4,680×192px LED 화면으로 흘려보내는 연출을 통해, 작은 참여가 부스 전체의 경험으로 확장되는 구조를 만들었습니다. 방명록에는 다양한 흔적이 3일간 누적되었고, 방문객은 자신이 남긴 흔적이 공간을 완성하는 느낌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이 사례는 복잡하지 않은 참여형 장치 한 가지로도 특수한 스크린 구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부스의 메시지를 더 선명하게 전달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2025 산업협력EXPO에서 만난 ‘투명 전자 방명록’

방문객이 자연스럽게 행사에 참여하게 만드는 장치나 퍼포먼스”는 언제나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고민입니다.

행사를 기획할 때 가장 어려운 점 중 하나는, 사람들이 ‘머무르도록 만들고’, ‘참여하도록 이끄는’ 기획을 하는 일입니다.

특히 박람회나 EXPO처럼 부스가 많은 행사에서는 “어떻게 하면 방문객이 스스로 참여하고, 그 경험이 부스 전체로 확장될까?” 라는 고민을 누구나 합니다.

이번 2025 산업협력EXPO 신산업관 정면에 자리한 스타트업 베이직 부스도 같은 고민에서 출발했습니다

투명 방명록에 작성된 서명이 송출 될 기다란 LED
투명 방명록에 작성된 서명이 송출 될 기다란 LED

“참여형 요소를 넣고 싶은데, 참여한 흔적이 부스 전체 분위기를 만들면 좋겠다."

투명한 전자 방명록 위에 관람객이 직접 서명을 남기고, 그 흔적이 부스 상단의 긴 LED 화면을 타고 흘러가는 구조는 16:9 비율의 LED에 서명을 송출하는 방식과 많이 다른 기획이었습니다.

투명 전자 방명록에 적히는 다양한 행사의 특별한 경험들

행사를 고객이 주로 고민했던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부스에 방문한 방문객들의 참여가 부스 전체와 연결되어야 하고,

  • 참여 결과가 사람들이 느낄 만큼 시각적으로 확장되고 재미있어야 하는 점.

​단순히 “서명을 받는다”가 아니라 “서명이 하나의 콘텐츠로 재구성되어, 부스의 분위기 자체가 달라지는 방식”을 원했습니다.

4,680 × 192px, 길게 누운 LED를 활용한 ‘확장 연출’

부스를 들어가면 가장 눈에 띄는 장면은 바로 부스 위에 세워진 LED였습니다.

가로 4,680px × 세로 192px로 이루어진 매우 긴 스크린이 부스 상단 전체를 감싸고 있었습니다. 고객은 이 특수한 크기의 LED를 “서명이 흘러가는 전광판”이라는 형태로 활용하고자 했습니다.

그 요구에 맞춰 이번 EXPO행사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서명 송출 방식이 제작되었습니다.

  • 투명 캔버스에서 남긴 서명을

  • 길고 얇은 LED에 맞게 흐르는 형태의 움직임으로 재구성

  • 먼 거리에서도 알아보기 쉬운 글자 크기, 색 대비, 속도 설계

  • 3일 동안 많은 서명이 누적되어도 혼잡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흐름 유지

​이러한 비율의 LED는 그저 “화면을 보여주는 장치”가 아니라 참여를 부스 전체의 시각적 경험으로 바꿔주는 매개체가 되었습니다.

투명 전자 방명록
미래인재관에 설치된 투명 전자 방명록

3일간 쌓여 흘러간 방문객의 흔적들

투명 전자 방명록에 쌓인 개성 있는 흔적들은 LED 위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계속 흘러가며 부스 전체에 활력을 만들어낼 수 있었습니다.

특히 EXPO 특성상 젊은 연구자·창업팀이 많았기에 참여도가 높았고, 내용도 다양했습니다.

전자 방명록에 남겨진 다양한 서명들
전자 방명록에 남겨진 다양한 서명들
전자 방명록에 남겨진 다양한 서명들

그 다양함 덕분에 상단 LED는 시간이 지날수록 더 풍부한 장면을 만들어냈습니다.

사람들이 남긴 다양한 서명 데이터가 눈에 보이는 형태로 재미있게 송출되때 , 행사 공간은 훨씬 더 살아 있는 모습이 될 수 있습니다.

즉, 특별한 기술을 과하게 쓰지 않아도, 참여와 공간을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장치 하나만으로 부스가 가진 메시지가 더 선명해질 수 있습니다.

만약 앞으로

  • 방문객이 좀 더 오래 머무는 부스를 기획하고 있거나

  • 참여형 요소를 공간 전체에 자연스럽게 녹이고 싶거나

  • 특수한 스크린 구조를 어떻게 활용할지 고민 중이라면

이번 사례에를 참고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Share article

페인트팜 블로그